주식

이동평균선 파헤쳐보기 (1)

슬투 2020. 8. 27. 14:38

 

1. 이동평균선 이란

추세의 변동을 알 수 있도록 구간을 옮겨가면서 평균을 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가의 하루 하루 움직임은 혼란스럽게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세력으로 일시적으로 왜곡될 수도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일시적으로 조작이 가능한 비정상적인 흐름의 변동을 최대한 줄여서 주가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평균화한 선입니다.

 


2. 이동평균선의 종류 
단기이평선  5일/ 20일 
중기이평선  60일 
장기이평선 120일/ 240일 


3. 이동평균선을 그리는 방법 
예를 들어 5일간의 가격을 모두 더해서 5로 나눈 평균값을 매일 구해 그것을 연결하면 5일 평균 이동선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60일간의 가격을 모두 더해 60으로 나눈 값을 매일 구해 선으로 연결하면 60일 이동평균선이 됩니다. 이동평균선을 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가장 오래된 정보가 빠져나가고 새로운 정보가 들오는 과정을 반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동평균선은 날짜를 옮겨가며 평균을 내면서 매일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4. 평균을 구할 때 계산방법에 따라 

단순/ 지수/ 가중/ 기하/ 조하 등의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이평선은 단순 이동평균선이며 그다음이 지수 이동평균선입니다. 무엇이 좋고 나쁘다 라고 말할 수 없으며 각기 장단점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 이동평균선을 사용하고 완전히 이해하고 다른 평균선이 필요해지면 지수 이동평균선을 공부해 나가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5. 이동평균선의 기능은 방향성과 지지와 저항 그리고 회기성입니다. 

이평선이 상승하고 있으면 현재 주가의 방향이 상승이라는 의미입니다. 만약 중장기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으면 현재 주가의 중장기 방향이 상승이라는 의미입니다. 

 

만약 단기 이평선이 상승하고 있고 장기 이평선이 하락하고 있으면 주가의 방향은 어떻게 되는 걸까? 여기서 알아야 할 개념이 배열도 입니다.

이평선이 단기> 중기> 장기 순서인 정배열은 상승추세를 나타내고 장기> 중기> 단기 순서인 역배열 은 하락 추세를 보여줍니다.

상승추세에서는 가격이 눌릴 때 지지영역에서 분할 매수하고 하락 추세에서는 가격이 오를 때 저항영역에서 분할 매도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수익내기 가장 좋은 구간은 횡보하다가 정배열을 만들기 시작하는 정배열 초기 구간입니다.

 

■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시점이 의미 있는 매매 타이밍입니다.

이동평균선은 분석기간 동안 매수한 가격 또는 매도한 가격의 의미를 갖습니다. 따라서 주가가 이동평균선 밑에 있다 이동평균선에 접근하면 평균적으로 손해를 보던 사람들이 본전에 가까워집니다. 그러면 본전 생각에 주식으로 팔게 됩니다. 그런데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왔다는 것은 팔 사람들은 대부분 다 팔았으며 그 매물을 극복하고 올라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시장에서는 추가로 급하게 팔 매물이 없다고 판단합니다. 그렇다면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 돌파하는 시점은 매수시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골든크로스라고 합니다.

 

 

반대로 가가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는 시점을 매도시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데드크로스라 부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골드크로스는 매수시점 데드크로스는 매도시점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기본적인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동평균선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내용을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