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매수를 결정하는10가지 원칙. (1)

 

 

1. 주가가 완만하게 하락하면서 거래량이 서서히 늘어나는 경우.

기술적인 측면에서 주식의 매수시점은 주가가 더 이상 떨어질 수 없는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거래량이 늘어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엔 주가하락에 지친 일반투자자들이 매도를 하고 나간 상태에서 전문투자자들이 서서히 주식을 매수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만약 거래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주가하락이 멈추면 더욱 분명한 매수시점이 됩니다.

 


 

2. 주가가 중요한 전환선을 돌파하거나 신고가를 경신하는 경우

주각의 움직임은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에 따라 등락을 거듭합니다. 그런데 주가가 중요한 전환선을 돌파한다든가 새 고가를 경신하는 경우는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특히 시장에서 10배 이상의 엄청난 수익을 내는 종목들은 신고가 부근에서 매수해도 됩니다.


 

3. 큰악재가 나와도 주가가 흔들리지 않는 경우.

주가는 정보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정보 중 호재가 나오면 상승하고 악재가 나오면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지요. 그러나 주가에 상당한 타격이 있는 악재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쉽게 밀리지 않는 다면 이는 회사 내부에서 그 악재를 상쇄할 만한 다른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판단해야 합니다. 이런 상황을 이겨낸 주가는 새로운 추세를 만들고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4. 주당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지나치게 떨어진 경우

주당순자산은 회사가 청산하는 경우 주주들이 받아갈 수 있는 잔여재산입니다. 만약 시장이 효율적이라면 주가는 주당순자산과 비슷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주당순자산은 과거의 자료를 토대로 계산된 것이고 주가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포함된 것이므로 둘 사이에는 분명 괴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지나치게 낮게 괴리가 발생하는 경우는 자산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상장폐지가 예정된 기업이 아니라면 그런 주식은 매수해야 합니다.


 

5. 분기순이익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매출액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최근에는 기업공사가 강화되어 분기별로 기업의 재무제표가 발표됩니다. 따라서 분기 단위로 기업의 매출과 순이익을 파악하여 분기순이익이 급증하는 기업을 주목해야 합니다. 그러나 분기순이익은 단기적으로 자산의 매각 들을 통해서 좋아질 수도 있으므로, 연간 순이익의 증가율도 함께 좋아지면서 실제로 기업의 영업이 호전되는 사인인 매출액의 증가까지 가미된다면 이런 주식은 매수해야 합니다.

 

 

                                        CONTINUE...